

구분 | 사업분야 | 예시 | |
---|---|---|---|
정기 공모 | 마을공동체 형성(뿌릴형) 마을공동체 활동(피울형) | 함께 배우는 | ۰ 마을인문학 강좌 ۰ 회복적 정의를 위한 학습 ۰ 마을공동체 리더십 학교 ۰ 마을기업,협동조합,지역화폐 등 사회적경제 학습 ۰ 주민참여예산제도, 주민자치회 등 제도학습 ۰ 마을공동체 이해와 우리마을 알기, 의제발굴 학습 ۰ 청소년 활동을 위한 학습지원, 청소년 진로학습지원 ۰ 청년활동 활성화를 위한 학습 ۰ 좋은 부모 되기 모임 학습 ۰ 마을미디어, 마을도서관 만들기, 마을신문 만들기, 마을축제 구성하기, 커뮤니티공간 만들기를 위한 준비학습 등 문화콘텐츠관련 학습 ۰ 아파트예산 쓰임새 학교 ۰ 기타 마을에서 필요한 학습 |
함께 돌보는 | ۰ 공동육아, 품앗이교육, 돌봄이 필요한 어린이 관련사업 ۰ 지역어른(청년)과 청소년이 함께하는 소통 활동 ۰ 여성과 아이들이 안전한 마을 만들기 사업 ۰ 안전한 마을만들기를 위한 커뮤니티 맵 제작 ۰ 마을과 노인의 삶, 생애사 쓰기 등 노인과 함께 하는 활동 |
||
함께 일하는 | ۰ 마을기업, 협동조합, 공유경제, 지역화폐, 도시농업, 플리마켓 등 마을 ۰ 주민이 주도하는 사회적경제 활동 ۰ 전통시장, 상가활성화를 위한 상인협동 사업 ۰ 재활용 물품을 활용한 리폼활동 ۰ 청년활동가 일자리 만들기 컨텐츠개발 사업 |
||
함께 즐기는 | ۰ 마을축제를 통한 마을공동체 활성화 지원 ۰ 커뮤니티 공간(북카페, 사랑방, 마을도서관, 청소년공간)의 마을역사,문화,예술 등을 매개로 한 프로그램 ۰ 마을의 역사를 토대로 한 마을 이야기 책 발간, 마을 이야기 영상물 제작 등 지원 ۰ 소셜 다이닝(공동밥상) ۰ 마을방송 |
||
함께 가꾸는 | ۰ 커뮤니티공간 조성(마을도서관, 북카페, 청소년공간, 품앗이 공간 등) ۰ 주거환경개선(골목길다듬기, 공가리모델링, 쓰레기분리수거, 안전한 주거환경 등) ۰ 녹지공간 및 생태학습장(한뼘공원, 옥상텃밭, 마을공동텃밭 만들기 등) ۰ 보행환경개선(안전한 통학로, 보행자 우선 환경 만들기 등) ۰ 에너지자립마을 만들기 사업 |
||
네트워크 활동 | ۰ 공동체 관계망 운영지원 ۰ 마을 안 네트워크, 마을 간 네트워크 |
||
마을공간 조성 | ۰ 마을공동체 거점 공간 마련 | ||
기획 공모 | 마을계획수립 | ۰ 마을공동체의 장기계획 수립 |
마을공동체만들기 지원사업을 신청하고 싶은데, 문의는 어떻게 하면 되나요?
사업 신청 방법은 인천광역시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이메일과 전화를 통해서도 문의하실 수 있습니다.
마을공동체지원센터는 지원사업과 관련한 상담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사업계획서 작성시 꼭 지켜야 할 것이 있다면 무엇인가요?
첫번째는 주민주체단위가 신청해야 합니다. 주민주도성이 분명하게 드러냐야 합니다.
둘째, 사업계획서 작성시에 주민주체의 교육과정을 명시해야 합니다. 마을공동체의 이해와 더불어 마을에 대한 사전 교육이 있어야 지속성을 가질 수 있습니다.
동일한 사업으로 여러 개의 지원 사업에 신청할 수 있나요?
마을공동체만들기 지원사업에서는 지원금의 고르고 바른 집행을 위하여 중복지원에 대한 제한 규정을 두고 있습니다.
-
당해 연도에 동일한 단체 및 주민모임이 동일한 사업 내용으로 지원하신 경우 동일한 사업으로 판단합니다.
-
선정 완료된 사업 계획으로 다른 사업에 신청하시는 것은 원천적으로 불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