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공간탐사] 개항장 언저리 2

인천공원 언덕에서 바라본 똥섬
인천뿐만 아니라 전국적으로도 해방과 함께 새롭게 이름 붙여진 동네가 많다. 이 동네들은 대개 개항기에서 일제강점기를 거치는 동안 일본인들이 많이 거주하고 있었고, 그 이전만 해도 그 곳을 가리키는 별다른 지명이 없었다는 공통점을 갖고 있다. 인천광역시 중구 신생동이 그런 동네이다. 이웃 신흥동과 마찬가지로 한적한 해변일 뿐이었던 이 곳에 사람들이 모여든 것은 인천이 개항을 하면서부터이다. 개항 당시 이곳은 인천도호부 다소면 선창리에 속한 부웅(浮雄)이라 불리던 지역이었는데, 여기에 일본인들을 위한 공원이 들어서고 사람들이 모여들면서 마을이 형성되었다.
조선인 묘지에서 일본공원이 된 사연
신생동 중앙에 작은 언덕이 하나 있다. 지금 인천여자상업고등학교가 들어선 이 바위언덕 남쪽은 원래 바다에 면해 있었다. 1889년 인천감리서는 이곳에 조선인을 위한 묘지를 조성하려고 계획하였다. 이 계획이 땅 주인 이귀만(李貴萬)에게 흘러들었고, 일이 계획대로 진행될 경우 땅을 무상으로 상납할 수밖에 없었던 이귀만은 일본인들에게 이 땅을 매도하였다. 1890년 6월 일본영사관은 여기에 일본인들을 위한 공원, 즉 일본공원을 조성하기로 결정하고 다시 이를 매입하여 공유지로 만들었다. 당시 각국조계 내에는 이미 만국공원이 있었으나, 이는 말 그대로 개항장에 거주하는 모든 외국인들을 대상으로 한 공원이었기 때문에 세를 확장해가는 일본인에게는 그들만을 위한 일본식 공원이 필요하였다.
한편 공원 내에 신사를 건립하여 이세신궁(伊勢神宮)에서 천조대신(天照大神) 신위를 옮겨온 일본인들은 기부금을 모아 나무와 꽃을 심는 등 본격적으로 공원을 가꾸어 가기 시작하였다. 그렇게 조성된 인천공원은 남쪽 해변으로 밀려드는 파도와 봄철이면 만개한 벚꽃으로 유명했다고 한다. 일본공원은 1914년 각국조계가 폐지되면서 그 이름을 ‘동공원’으로 바꾸었고 이때 만국공원 역시 ‘서공원’으로 되었다.
신사 옆에는 요정이 들어서고
인천신사에 배향된 천조대신은 일본 황실의 조상신으로서 일본인들의 숭배를 받아온 신이다. 수많은 일본의 신 중에서도 가장 상위의 신격(神格)을 가진 신으로 당시 일본영사관에서는 이 신의 신위를 인천으로 옮겨오는 한편 신사가 들어선 인천공원을 위락 장소로 운영하고자 했다. 이에 따라 일본신사가 건립될 즈음 수명루(水明樓)와 명월루(明月樓)라는 고급요정이 신사 경내에서 개업하였다. 대개 어느 나라이건 신의 위패를 모신 곳은 성스러운 땅이라 하여 함부로 출입하기도 쉽지 않은데, 인천신사의 경우 그 경내에 술과 여자를 파는 요정이 들어선 것이다. 특히 수명루는 제일루라 불릴 정도로 인천 최고의 요정이었다. 1892년 당시 시인이자 조선신보사 기자로 활동하던 아오야마 고헤이[靑山好惠]는 “제물포의 빼어난 풍경은 일본공원에 있고, 일본공원의 기묘함은 수명루에 모여 있다(靑山好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