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진

‘안녕하세요 배다리’ 전시회 스케치

작성자
admin
작성일
2014-02-18 14:14
조회
253

  시립박물관의 이번 전시는 현재를 살아가는 인천 시민에게 배다리가 어떤 의미인지 생각해 볼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기 위해 기획되었다. ‘연속과 단절’이라는 주제로 배다리의 역사와 그 안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의 삶의 모습을 생생히 볼 수 있었다.




‘안녕하세요?’ 무심코 던진 이 의미심장한 질문 하나는 많은 것을 생각하게 한다.



  “‘배가 닿던 곳’이라는 의미에서 붙여진 이름 ‘배다리’는 이른바 배다리 철교를 중심으로 하는 동구 금창동과 송림동, 중구 경동 일대를 가리키는 공간이다. 배다리라는 이름은 송현동 갯골에서 흘러드는 물길을 따라 배가 닿았다 하여 불렸던 것으로 추정된다. 행정지명이 아닌 탓에 정확히 그 범위를 규정하긴 어렵지만, 배다리 철교와 중앙시장, 그리고 헌책방거리를 잇는 삼각형의 주변지역을 통칭하여 배다리로 부르는 것이 적절할 것으로 보인다.”

  “1899년 개통된 경인철도는 교통수단의 기능 외에도 일본인과 조선인의 공간을 구분 짓는 경계선이 되어 버렸다. 철교를 기준으로 남쪽 싸리재 일대를 배다리 안, 북쪽 쇠뿔고개 초입을 배다리 밖이라 불렀다. 안과 밖이라는 모호한 경계 속에는 경인철도를 기준으로 중심지와 주변지, 일본인 거리와 조선인 거리를 구분하려는 당시의 인식이 강하게 내포되어 있다.”




개항장 부두 모습



  “개항 이후, 개항장과 주변 지역은 질서정연한 근대도시로 변모해간다. 인천을 그들만의 도시로 만들고자 했던 일본인들은 자신들만의 학교, 신사, 상점과 은행, 자본이 투입된 대형공장을 건설해가면서 조선인들의 공간을 침탈해갔다. 그리고 삶의 터전을 빼앗긴 조선인들은 철도 밖, 배다리 일대로 밀려나야 했다.”






인천공립보통학교는 인천지역 3․1만세운동의 주축이 되었고, 두 학교는 조선 학생들에게 민족정신을 가르치는 배움터로 기능하였다.




소성주 막걸리 사진






배다리 주변으로 마을이 형성되고 사람들의 삶이 이어지면서 자연스레 시장도 형성되었다. 배다리 시장은 일행을 놓치면 다시 찾기 어려울 정도로 많은 사람이 왕래하였으며, 인천에 제일 볼만한 시장으로 명성이 자자하였다.



  “배다리 주변의 마을도 그렇게 형성된 가난한 조선 사람들의 공간이었다. 그 공간에 조선인을 위한 학교가 들어서고, 막걸리공장이 세워지고, 조선 사람들의 장터가 형성된 것은 어찌 보면 당연한 일이었다.”




  개발사업으로 인해 갈라진 ‘공간’에 대해 다루었다. 산업도로가 계획되면서 마을 한가운데가 잘려나갔다. 이어서 추진된 도시재생사업은 시와 주만, 그리고 주민들 사이의 크고 작은 다툼을 가져왔다. 개발사업과 도로건설은 마을과 길만을 동강낸 것이 아니라 마을 사람들까지 갈라놓았다.



   “그 시절 가난했지만 안녕했던 배다리는 인천 사람의 1/3이 모여 살던 동구의 중심지였다. 눈부신 경제발전으로 도시가 팽창하면서 깨끗한 환경, 새로운 주거지가 생겨나고, 사람들도 하나 둘 떠나기 시작했다. 늘 북적대던 상점들도 문을 닫았다. 사람이 오가던 공간은 적막하게 변해갔다. 사람들이 떠난 자리에 추진된 개발사업은 남겨진 사람들의 마음에 생채기를 남겼다.”

  “물리적으로 갈라진 도로부지에 마을을 이어주는 텃밭이 만들어졌듯이, 상처 난 사람들의 마음을 치유할 수 있는 안녕한 배다리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전시회를 설명하는 마지막 문구는 오늘날 인천에서 살아가는 시민들에게 여러 시사점을 남긴다.

원도심에 대한 애틋한 마음과 동시에 ‘상생’에 대한 성찰을 하게 만드는 계기였다.

글 : 인천시립박물관

사진 : 이광민(사업지원팀)


twitter
facebook

(우) 22101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석정로 229, 제물포스마트타운 12층

032-777-8200

032-777-7892

뉴스레터 구독하기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